본문 바로가기

IT 공부하기/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비전공자 직장인 공부방법

1과목 : 15/20

2과목 : 17/20

3과목 : 19/20

4과목 : 17/20

5과목 : 17/20

평균 : 85

작년 3회 시험 5과목 한문제 차이로 아깝게 떨어지고 드디어 합격해서 속이 후련하다!!

총 공부기간은 7일정도 되었고 수제비 교재수제비 카페를 활용한 공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제비 2020 교재 (2020년도꺼라 수제비 카페의 기출문제 해설 페이지와는 다른 부분이 있었음 ㅠㅠ)

cafe.naver.com/soojebi

 

 

 

 

 

 

1. 기출문제 3회분(개정이후 2020년도꺼) 문제 풀이 및 수제비 카페의 기출문제 해설로 관련 개념 정리

사실 공부기간을 한달로 넉넉히 잡고 시작했는데 3주는 시험 본다는 사실에 불안해만하고 정작 공부는 안했다...ㅋㅋㅋ

그러다가 일주일 남은 시점에서 정신이 번쩍 들어서 기출부터 조지기 시작

 

다만 한 회분을 쭉 푸는게 아니라 한 회의 한과목씩 풀었다.

1,2회 1과목 풀고 개념 정리 -> 3회 1과목 풀고 개념 정리 -> 4회 1과목 풀고 개념 정리

이런 식으로!

 

비전공자이지만 개발 실무 1년차가 좀 넘은 개발자로써

어디서 주워들은것도 있어서 손댈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진짜 난생 처음 듣는 것들도 많았는데

그나마 손을 댔던거는 문제 자체에 개념을 정리했고

아예 처음 듣는것들은 뒷장에 관련 개념을 통째로 정리했다(ex.전위후위식 계산법, DB정규화 단계 등)

 

한 회의 한 과목을 풀고 문제와 관련된 개념들을 수제비 책을 보며 정리했다.

수제비 카페에 기출 해설이 굉장히 자세하게 나와있어서 도움이 많이 됐다!

 

문제 자체에다가 개념 정리
쌩판 첨 들어보던 것들

 

​수제비 카페에 보면 

이런 식으로 문제에 대한 해설이나 관련 개념이 있는 책의 페이지를 알려준다.

아쉽게도 2020년도 4회분 해설이 아직 안올라와 있어서 찾는데 애먹었다.

4회를 풀 때에는 그래도 어느정도 개념이 잡혀있어서 그 문제가 무엇에 대한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그냥 구글링했다.

 

예 ) 2020년도 4회 58번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 아는 것은?

1)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2)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3) 접근 경로 설계

4)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그러면 구글에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설계 단계"라고 검색한다.

정보처리기사 ~ 해당 내용

검색하면 웬만해서는 다 나왔음

 

 

 

 

 

 

2. 수제비 문제집에 각 과목별 단원 종합 예상문제 풀기(이것도 사실 다 못함)

수제비 문제집을 보면 과목 당 맨 마지막 부분에 단원 종합 예상문제가 20문제정도씩 있는데

기출을 다 보고 이걸 풀었다. 근데 시간 부족으로 이것도 3과목까지밖에 못함...ㅋㅋㅋ

 

3. 시험 당일날 오전부터 수제비 카페의 예상문제를 쭉 풀다가 시험장에 갔고

시험장 12:35에 들어가서 감독 지시 전까지 기출문제만 다시 계속 봄

1과목부터 조금 멘붕이었는데 생각보다 고득점에 신기하기도하고 기분이 좋았다!

쓰다보니 수제비 홍보대사 같지만...ㅋㅋㅋㅋㅋ 수제비 카페지기분들도 열정적이서 굉장히 열심히하게 됐다.

단기간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역시 기출조지기가 답이라는거!!!

 

시간 없으면 기출만 10번 읽고 관련 개념 구글링해서 읽고 가도 반타작은 할 것 같다.